자유게시

입춘(立春)

실크리버 2011. 2. 6. 00:01
入春大吉 建陽多慶

 

봄을 상징하는 입춘은 24절기 중 첫째로 새로운 해의 시작을 의미한다. 예부터 입춘절기가 되면 농가에서는 농사 준비를 한다.

아낙들은 집안 곳곳에 쌓인 먼지를 털어내고 남정네들은 겨우내 넣어둔 농기구를 꺼내 손질하며 한 해 농사에 대비했다. 소를 보살피고, 재거름을 부지런히 재워두고, 뽕나무밭에는 오줌을 주고 겨우내 묵었던 뒷간을 퍼서 인분으로 두엄을 만들기도 한다. 바야흐로 바빠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일년 농사의 시작이 이제부터이기 때문이다. 또 이날 내리는 비는 만물을 소생시킨다 하여 반겼고, 입춘때 받아둔 물을 부부가 마시고 동침하면 아들을 낳는다 하여 소중히 여겼다. 그러나 '입춘한파'니, '입춘 추위 김장독 깬다'고 간혹 매서운 추위가 몰려와 봄을 시샘하기도 한다.

입춘날 농가에서는 대문이나 집안 기둥에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같은 입춘첩(立春帖)을 써붙인다. 여기에는 한 해의 무사태평과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 있다. 더불어 어둡고 긴 겨울이 끝나고 봄이 시작되었음을 자축하는 뜻이기도 하다.

예전에 농가에서 이 날 보리 뿌리를 뽑아 보고 그 뿌리의 많고 적음에 따라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보리뿌리점(麥根占)을 쳤다. 여주인이 소복을 하고 땅의 신에게 삼 배를 올리고 보리뿌리를 뽑아 세 가닥이면 풍년, 두 가닥이면 평년, 한 가닥이면 이면 흉년이 든다고 믿었다. 또 부녀자들은 오곡을 솥에 넣고 볶을때 맨 먼저 솥 밖으로 튀어나온 곡식이 그 해에 풍작을 이룬다고 믿었다지만 이제는 다 옛 얘기가 되고 말았다.

제주도에서는 입춘일에 큰굿을 하는데, '입춘굿'이라고 한다.
입춘굿은 무당조직의 우두머리였던 수신방(首神房)이 맡아서 하며, 많은 사람들이 굿을 구경하였다. 이때에 농악대를 앞세우고 가가호호를 방문하여 걸립(乞粒)을 하고, 상주(上主), 옥황상제, 토신, 오방신(五方神)을 제사하는 의식이 있었다.

 

입춘 대길 . 건양 다경


 

立          建

 

春          

 

大          
吉          

       

            立春大吉 (입춘대길) 2011년 2월 4일 금요일 입춘 입니다, 입춘방을 보내드리오니 출력해서 출입문에 붙히시고 올 한해동안 좋은일만 가득하십시요! 겨울이 절정이면 봄은 멀지 않다. 추운 겨울이 길면 길수록 봄 생각이 간절하다. 옛 사람들은 다가오는 봄을 마냥 기다릴 수 없었다. '立春'이란 절기가 처음 문헌에 나타난 시기는 중국 북위 때다.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 우리 조상들은 봄을 간절하게 기다리며, 대문이나 기둥에 立春 大吉 입춘대길, 建陽 多慶 건양다경 이란춘첩자를 붙였다. 24절기 중 첫 절기인 '입춘'은 태양이 황경 315도의 위치이며, 2011년은 이 지점이 2월4일이다. 이날부터 약 15일간을 입춘절이라고 하며,立春(입춘)의 '立'은 '서다'가 아니고 '곧'이라는 뜻이다. "곧 봄이다"란 입춘의 뜻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면, 입춘이 지났는데 계속되는 겨울을 원망할 수 있다. "곧 다가올 봄에는 크게 좋은 일이 있을 것"이란 뜻의'立春大吉'을 쓴 조상들의 슬기를 닮고 싶다. 그러나, 주택구조의 변화로 춘첩자를 붙일 장소가 적당하지 않다. 이제 입춘절 인사로 서로간에 "입춘대길"로 하면 어떨까. 庚寅年 萬 事 亨 通 하시길....
            신묘년 새해

      '자유게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과 믿음 그리고 행복   (0) 2011.02.13
      詩를 쓰는 아침 / 전온  (0) 2011.02.10
      [스크랩] 부부 마음을 울리는 작은 글  (0) 2011.01.28
      한번 더 안아주는 지혜  (0) 2011.01.26
      필론의 돼지  (0) 2011.01.22